분류 전체보기 2

단시간 시간강사의 퇴직금 청구권

시간강사는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근로자일까 보통 ‘시간강사‘라고 하면, 학원이나 대학 등에서 특정과목에 대한 강의를 시간제 형태로 하는 교사를 말합니다. 시간강사는 계약기간이 학기단위 또는 학년도 단위로 이루어지는 계약직 형태이며, 정규직과 달리 강의시간에 따라 보수가 부여되고, 학문적 연구나 학교 행정업무는 주어지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러한 시간강사의 계약방식과 업무내용으로 인하여, 시간강사는 ’근로자’가 아닌 이른바 ’프리랜서’로서 사용자의 지시감독을 받는 근로자가 아니라 1:1의 용역관계로서 이해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시간강사도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근로자에 해당되는 경우가 가능하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판단하고 있습니다.대법원 2004다29736 판결 계약의 형식이 고용계약인..

카테고리 없음 2025.01.20

분양자의 잔금 유보 의무

아파트 분양계약의 특징 아파트 매매에 있어서 매매대금의 지급은 통상 계약금, 중도금, 잔금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잔금의 완납과 동시에 아파트에 대한 소유권 이전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러나, 신축 아파트에 대한 매매는 매매계약이 아닌 분양계약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통상은 아파트가 완공되기 전에 미리 분양계약을 체결하는 이른바 ‘선(先)분양’ 방식의 분양계약이 대부분입니다. 아직 지어지지 않은 아파트를 매매하는 이러한 아파트 분양계약의 법적인 성질에 대하여 대법원의 판례는 매매로서의 성질과 도급(용역)으로서의 성질을 함께 가지고 있는 혼합적 계약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사고판다는 점에서는 아파트의 매매이지만, 아직 지어지지 않은 아파트를 지어달라고 요구하고 그 대가를 받는다는 점에서는 아파트의..

카테고리 없음 2024.12.04